본문 바로가기
빅데이터

비전공자 빅데이터 / 데이터분석 취업 (2)

by paory2 2022. 12. 28.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이어 비전공자 빅데이터 / 데이터분석 취업에 대해 작성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넘파이 (Numpy) / 판다스 (Pandas) 데이터 분석 도구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 이번 시간에서는 빅데이터 / 데이터 분석 직무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우선 내년국가공무원 공채 선발에서 데이터직을 첫 채용한다는 소식이 있으며 HR 테크 시장에서도 AI 및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 시장 변화에 대응한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HR 시장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노동 시장을 분석하기는 했지만 주목 해 봐야 할 점은 'HR 테크'라는 키워드 입니다.

 

이처럼 국가공무원직에서도 그리고 HR 시장에서도 인재 선발 - 채용 - HRM - HRD 영역에서도 데이터 분석 기반 AI 테크 기업들 중에서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유니콘기업 - 기업 가치 1조원 이상인 스타트업). 이는 최근 노동 시장에서 평생 직장의 개념이 없어지고 '최소한의 노동' 이라는 의미인 '조용한 사직'이라는 키워드가 붐을 일고 있어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을 잡기 위한 방안에 테크를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눈에 보입니다. 또한 이전 HR 담당자들이 모든 데이터들을 엑셀 등으로 직접 핸들링 하는 사안들을 AI 기술을 접목 시키는 의도도 있습니다. 때문에 이를 해석 할 때에는 그만큼 빅데이터 분석 중요성과 적용하는 분야는 더욱더 시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있고 대중적으로 변하고 있다라고 생각하고 접근하시는게 올바른 해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무리 빅데이터 / 데이터 분석 시장이 더욱더 우리 생활과 그리고 일반 회사에서 가까이 있다고 하더라도 애석하게도 High-Tech 기술을 요구하는 빅데이터 시장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비전공자들이 자리매김 하기에는 부단한 노력이 많이 필요한 분야임은 맞습니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자바 웹 개발과는 다르게 Framework 활용도만 높아진다고 취업을 할 수 있기 보다는 데이터를 분석할 때 필요한 통계적 기법이나 데이터 분석 후 해석에 있어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해석이 필요한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욕심을 가지고 급하게 접근하기 보다는 천천히 장기적인 로드맵을 가지고 공부를 해 나가신다면 절대적으로 못 할 분야는 아닙니다.

 

 

데이터 사이언스 |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 분석

아직까지는 국가별 그리고 회사 비지니스 환경에 따라서 각 직무에 대한 정의를 달리하는 경우나 중첩이 되는 회사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직무를 선택할 때에는 반드시 각 회사에 채용공고를 명확하게 보셔 하는 업무와 회사를 선정 해 나가셔야 합니다. 간단하게 데이터 사이언스 , 데이터 엔지니어 , 데이터 분석에 분야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니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채용 공고를 명확하게 분석 해 보는 눈을 길러보시길 바랍니다.

 

 

 

1) 데이터 사이언스는 AI/머신러닝/딥러닝 알고리즘 모델을 개발하고 최적화를 담당하는 포지션입니다. 머신러닝/딥러닝 예측 알고리즘을 기반하여 미래 예측을 위한 학습 알고리즘에 주안점을 둡니다. 예측 알고리즘 개발에 필요한 개념은 고급 통계학 , 선형대수 , 미적 , 베이지안 등 여러 확률과 통계에 대한 수학적 개념이 기반이 되어져야 하며 무수히 쏟아져 나오는 빅데이터 관련 논문을 해석해서 기술적 고도화를 이뤄내야 합니다. 때문에 이 포지션은 상경 , 수학 , 컴공 석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 할 수 밖에 없습니다.

 

 

 

2) 데이터 엔지니어는 상대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에 가까운 직무입니다.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부 터 모델링까지에 필요한 파이프라인과 API, 아키텍처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고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위한 최적화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때문에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과 관리 그리고 데이터 가공 작업까지 아우리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이해가 필요한 직군입니다. 

 

 

3)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담당하는 파트 입니다. 기업 내 결정권자가 데이터 기반 판단을 위한 데이터를 분류 / 취업 / 시각화 (대쉬보드) 하여 내부적인 인사이트 도출에 가까운 직무이기에 데이터에 대한 인과를 밝혀내는 직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통계 프로그램 / 시각화 역량과 더불어 비지니스 / 도메인에 관련한 지식이 있다면 더욱더 경쟁력있는 취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가장 일반적인 분류 기준입니다. 비전공자 기준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께는 위 3가지 직무 중 [데이터 분석] 직무에 도전을 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각 직무에 대한 기준은 기업체 마다 활용 범위가 다릅니다. 때문에 각 기업에서 요구하는 담당 업무 / 자격 요건 / 필요 역량 등을 꼼꼼하게 분석하셔서 장기적인 로드맵을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